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 <순간을 달리는 할머니 1.2>를 읽었어요 이 책은 TV를 통해 우연히 알게 되어서 읽게 되었다. 평소 TV를 많이 보는 편은 아닌데 그날따라 틀었던 유퀴즈에서 엄유진 작가가 나온 부분을 보게 된거다.그리고 이 책 제목을 듣게 되어서 방송을 보면서 바로 주문을 했다. 그런데 방송 이후 이 책의 인기가 너무 끝내줬는지 보름이 지나서야 내손에 들어왔다. https://youtu.be/S2Atw6dM7jo?si=EC2D6Gxc8A3Tu9MI 너무 재미있었다. 이미 치매 가족으로 15년 된 내가, 또 다른 치매 가족을 엿보게 되는 그런 기분으로 책을 읽었다. 엄청 잘 그린 연필로 그린 그림과 엄유진 작가의 글을 보니 가족을 바라보는 그 시선이 너무 따뜻했다. 교수님이셨던 어머니가 치매에 걸리게 되고 그 과정을 기록하는게 이책의 내용이다. TV로 .. 2025. 6. 24. 사주팔자에 목木이 많을 경우 : 사주팔자 중에서 어떤 특정한 오행이 많다는 것은 그 특정 오행이 그 사주 내에서 제일 힘이 세다는 겁니다.그리고 그 사주팔자와 운은 그 힘이 제일 센 오행을 중심으로 흘러가게 된다고 봅니다.경우에 따라서는 그 힘이 센 오행이 일간인 나와 같은 오행일 수도 있고요. 일간이 나와는 다른 오행일 수도 있습니다.일간이 나와 같은 오행이라면 내힘이 일간인 나의 힘이 굉장히 세어지는 것이고요.일간이 나와 다른 특정 오행이 많다면 일간인 내가 많이 약해진다는 것도 의미합니다. 그러면 어떤 경우에 특정 오행이 많다고 하는 걸까요?한 사주에서 보통 한 세 글자이상의 동일한 오행이 있다면 그 오행이 좀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어느 특정 오행이 많은 경우의 이야기기도 하지만내 일간이 그 특정 오행과 동일한 오행이라면 일.. 2025. 6. 6. 오늘의 운세를 뽑아봐! 🌟 심플 타로 카드 뽑기로 알아보는 당신의 하루! 오늘의 타로 카드 한장 뽑기카드 뽑기카드를 뽑아 오늘의 메시지를 확인하세요. 2025. 6. 6. 집주인의 주민등록을 이전하지 않은 상태로 이사가는 집에 제가 전입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이 경우에도 세입자분이 이사갈 집을 인도받고 이사하고 전입신고를 하면 대항력이 발생하고, 확정일자를 받으면 우선변제권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사 당시 집주인의 주민등록이 있어도 세입자가 법적 효력에는 문제없습니다 2025. 5. 15. 치매는 퇴행이 아닌 순환입니다. - 아이로 돌아가는 부모와의 동행 치매를 처음 마주하는 가족은 당혹스럽습니다. 어느 날 갑자기 부모님이 나를 알아보지 못하고, 일상의 소소한 것들을 잊어버리는 모습을 보는 일은 마음 깊은 곳까지 흔들어 놓습니다. 누군가는 이를 '인생의 퇴행'이라 표현합니다. 하지만 저는 그보다 더 어울리는 단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순환’입니다.우리는 모두 한때 누군가의 아기였습니다. 부모님의 손길과 사랑 속에서 자라났고, 보호받으며 세상을 배워왔습니다. 시간이 흐르고 인생이 한 바퀴를 돌아, 부모님이 다시 아이처럼 변해가는 그 과정을 지켜보는 우리는 이제 그 손을 다시 잡아드리는 역할을 맡게 됩니다. 그것은 절망적인 퇴보가 아니라, 사랑의 순환이자 삶의 자연스러운 순리일지도 모릅니다. 노년기 퇴행 행동, 단순한 '망각'으로 보지 마세요치매는 .. 2025. 5. 10. 치매환자의 밤낮이 바뀌는 이유와 대응법 치매 환자의 대표적인 행동 변화 중 하나는 ‘밤낮이 바뀌는 증상’입니다. 낮에는 졸고 밤에는 깨어서 배회하거나 말이 많아지는 모습이 자주 나타나죠. 이런 수면-각성 주기의 혼란은 환자뿐 아니라 가족과 간병인에게도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치매 환자에게 밤낮이 바뀌는 이유와 그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법을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낮에는 졸고 밤에는 깨어 있는 이유는? (수면장애의 시작)치매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는 낮에 졸고 밤에는 잠을 못 이루는 것입니다. 이는 단순한 불면증이 아니라 치매로 인한 수면-각성 주기의 붕괴에서 비롯됩니다. 노년층은 원래 멜라토닌 분비량이 감소하면서 수면 질이 낮아지지만, 치매 환자의 경우 시상하부 기능 저하로 인해 생체시계가 더 심하게 무너집니다... 2025. 5. 10.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